본문 바로가기
유튜브 강의 정리

유튜브 쇼츠 5400개를 분석해서 내놓은 보고서 잇비

by 금잘알 2024. 8. 21.

튜브 쇼츠 5,400개 분석 결과 요약

최근 유튜버 패디 갤러웨이(Paddy Galloway)는 다양한 분야의 33개 채널에서 5,400개 이상의 유튜브 쇼츠를 분석하여 총 33억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이 분석을 통해 유튜브 쇼츠의 성공 요인과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영상 길이와 성과

  • 평균 길이: 대부분의 쇼츠는 20초에서 40초 사이였으며, 지나치게 짧은 영상은 적었습니다.
  • 조회수와의 관계: 일반적으로 긴 쇼츠일수록 평균 조회수가 더 높았지만, 이는 길이가 무조건 길어야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특정 길이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시도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클릭률(CTR)

  • 분석 결과, 클릭률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조회수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특히, 시청자들이 40% 이상 스킵하는 경우 조회수 10만 회를 넘기기 어려웠습니다.

3. 참여도(좋아요, 공유, 댓글)

  • 일반적으로 많은 참여도가 조회수 증가로 이어진다고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참여도와 노출 수 사이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었습니다. 다만, 영상의 첫 몇 초가 시청자의 시선을 사로잡는 데 중요하며, 이 부분이 오히려 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4. 구독 전환율

  • 쇼츠를 통해 구독자를 늘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특히, 구독자 수가 많은 채널에서는 구독 전환율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구독자 100만 명 이상인 채널은 여전히 유튜브 운영에 있어서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5. 수익화

  • 쇼츠의 수익화 도입 이후, 수익이 두 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00 조회수당 약 6센트(약 80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었으며, 본 영상과 달리 쇼츠의 경우 길이에 따른 수익 차이는 거의 없었습니다.

결론

유튜브 쇼츠는 많은 노출을 얻을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시청자들의 시선을 처음 몇 초 안에 잡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현재 쇼츠의 수익화는 제한적이지만, 앞으로 더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패디 갤러웨이의 이 분석은 유튜브 쇼츠의 작동 방식에 대한 데이터 기반의 통찰을 제공하며, 크리에이터들이 콘텐츠 전략을 최적화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